Web
-
[HTML] 시멘틱 마크업 - 블록 요소와 인라인 요소 / 인용, 강조 tagWeb/HTML 2022. 8. 29. 00:11
#1 블록 요소와 인라인 요소 - 블록 요소 , , 등 사용 가능한 최대 가로 너비를 사용한다.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. 수직으로 쌓임 - 인라인 요소 , 등 필요한 만큼의 너비를 사용한다. 크기를 지정할 수 없다. 수평으로 쌓임 * 블록 요소 안에 인라인 요소를 넣을 수 있지만 인라인 요소 안에 블록 요소를 넣을 수 없다. #2 인용 관련 태그 - 짧은 인용문을 설정 - 긴 인용문을 설정 * 와 모두 출처가 필요하다면 cite 속성을 이용하여 출처의 URL을 표기할 수 있다. - 창작물에 대한 참조를 설정 책, 논문, 영화, TV 프로그램, 노래, 게임 등의 제목 Mona Lisa 레오나르도 다 빈치, 1503년 #3 강조 관련 태그 - 의미의 중요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 강한 강조 기본적으로 글자가 ..
-
[HTML] 시멘틱 마크업 - 콘텐츠, 문장, 목록 tagWeb/HTML 2022. 8. 26. 02:40
#1 콘텐츠 구분 태그 - ~ 웹접근성을 좋게 하기 위해 한 페이지에 은 한번만 사용해야한다. ~ 는 중요도, 의미의 구조를 표현하기 때문에 검색엔진이 그 문서의 목차처럼 해석할 수 있다. 제목1 제목2 제목3 제목4 제목5 제목6 웹사이트의 기획 목적과 마케팅 전략에 따라 검색이 잘되어야 하는 제목을 중요도 순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다. 그래야 검색엔진이 웹사이트를 검색 랭킹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키워드로 간주한다. - 문서의 헤더를 설정 (보통 로고, 제목 등을 포함) - 문서의 푸터를 설정 (보통 저작권, 관련 문서 등을 포함) - 현재 페이지 내 또는 다른 페이지 링크를 제공하는 영역을 설정 (보통 메뉴, 목차 등을 설정) - 문서의 주요 콘텐츠를 설정 한 문서에 하나의 요소만 사용해야 한다. - ..
-
[JavaScript] JavaScript 기본Web/JavaScript 2022. 8. 25. 04:03
#1 변수 선언 및 할당 / 반복문 / 조건문 예시 - jinHee라는 메모리 주소를 만들고 100을 저장해보자. var jinHee = 100; - sum에 1을 더하는 코드를 5번 반복해보자. var sum = 0; for (var i = 0; i 50) { jinHee += 200; } else { jinHee -= 5; } #2 함수 예시 - jinHee에 30을 더하는 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sum이라는 함수를 만들어보자. var jinHee = 0; var sum = function () { jinHe..
-
[HTML] 의미있는 문서, HTML 시멘틱 아우트라인Web/HTML 2022. 8. 25. 02:00
#1 HTML과 메모리 Q. HTML 프로그램이 메모리에 어떤 일을 하길래 화면을 그릴 수 있게 되는 걸까? -> html파일로 코드를 작성해보자. -> 개발자 도구에서 작성한 코드를 확인해보자. -> 개발자도구의 콘솔탭에서 'jinHee'를 입력하여 메모리 주소에 대한 정보를 확인해볼 수 있다. 이처럼 이 정보사전을 필요할 때 꺼내쓸 수 있게 된 것이다. -> window : 브라우저의 새탭을 열면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필요한 메모리 공간이 셋팅된다. 이를 window라고 부른다. 페이지를 만드는데 필요한 도구 프로그램들이 이미 로드되어 있다. -> 우리가 태그를 이용해 생성한 정보뭉치도 이 안에 포함되어 있다. window.document 안에 들어 있다. window로 접근 할 수 있다. - ht..
-
[Web] 프로그래밍과 웹의 이해Web 2022. 8. 23. 02:46
#1 컴퓨터의 메모리 * 하드디스크 (저장장치), CPU(연산), 메모리 - 컴퓨터는 메모리에 있는 data를 CPU가 계산해주는 계산-기 (compute-er) 이다. - 1byte = 8bit - 메모리 주소를 알기 쉬운 이름 (=의미있는 이름)으로 정하고 데이터를 넣어보자 - 하나의 메모리 주소에 또 다른 주소를 넣고 넣어 정보를 구조적으로 정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. #2 프로그래밍 언어 - 고수준 언어를 저수준 언어로 번역하는 과정은 몇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진다. - JS 코드 -> 토큰 -> AST -> 어셈블러 -> 머신 코드 - 컴파일언어 / 인터프리터 언어 컴파일언어 : 머신코드까지 완성된 변화를 파일(.exe)로 만들어 둔 후 원할 때 CPU에 전달하는 방식의 언어. 번역과 같음 (예, c..